알고리즘을 나름 완성하여, 조만간 IO Live와 나무앱으로 자동매매를 하려 하는데요, 몇 번 해보면 알겠지만, 시작전에 나름 정확히 알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IQ Live에 전략 등록하고 나무 MTS로 연동하려는 경우,, 알림톡을 받고 NAMUH에서 주문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이때의 주문 가격은 어떻게 되는지요? 다음과 같이 질문을 나눠 봤습니다.
A. 주문 체결될때까지, 현재가라고 하는데, 시장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B. 주문하기 버튼은 제가 원할 때 클릭하면 되는 건가요? 예를 들어, 11시쯤 주문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그 때의 현재가겠죠?
C. 백테스팅의 익일시가를 최대한 반영하려면, 정확한 답은 없겠지만, 장시작할 때 주문하기 위해서, 장 시작전에 주문하기를 클릭하는게 제일 좋은 방법이겠지요?
이건 제가 알고 있는거네요(저도 문의했던.. ). ㅎㅎ A. 현재가는 가장 최근의 체결가입니다. 시장가는 무조건 체결을 위해 가장 근접한 호가에 주문내는 거고요. B+C 는 묶어서 설명드리면, 1) 굳이 장전에 안 하셔도 원할 때 클릭하셔도 됩니다. (다만 장마감에 가까워질 수록, 거래량이 없을 수록 매매가 안 될 수는 있겠죠.) 2) 맞습니다. 주문시의 현재가입니다. 3) 도움말-api에서 IQEnvironment 항목란 보시면, function initialize() { IQEnvironment.simulationMethod = SimulationMethod.normal; // 익일 시가 (기본값) 또는, IQEnvironment.simulationMethod = SimulationMethod.average; // 익일 평균가 (고가, 저가, 종가의 평균) 인데요. A처럼 할 때에는 평균가가 합리적이고, 장전 매매일 때는 익일 시가가 합리적인거 같습니다. IQlive는 실전과 백테스트(가상매매)의 비교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쓰기 위한 코드문입니다. 내가 실전에서 주문을 언제 넣을지에 대한 결정을 하셔서 둘 중에 하나를 고르시면 될거 같습니다.